명절처럼 몇일씩 멀리 다녀와야할 일이 생기면 요즘은 아이 먹일 것 부터 걱정이 됩니다. 이번 설 연휴는 길었던데다 저는 시댁에 일주일 더 머무를 예정이어서 더 그랬는데요, 만약을 대비해서 데워먹는 시판 이유식을 준비하고 미리 만든 이유식은 냉동실에 얼려두었습니다. 제가 만든 소고기 표고죽 입니다. 표고 버섯,양파,당근은 잘게 다지고 ( 이유식 만들 때 가장 힘든게 다지는 거네요^^ ) 다진 소고기 안심은 핏물을 빼서 준비해놓습니다. 다시마 육수에 다진 야채 넣고 끓이다가 소고기를 넣고 밥을 넣어 잘 저어주면서 끓이고 마지막에 참기름 소량 넣어줍니다. ( 8개월 후반 부터는 쌀을 갈지않고 그냥 밥을 지어 죽을 끓였네요^^ ) 만들면서 맛을 보지만... 고소하니 먹을만 합니다. 그런데 문제는 도담이가 잘 안..
아이가 이유식을 먹을 때 이렇게 넙죽넙죽 잘 받아 먹어 주면 얼마나 좋을까요? 도담이는 이유식을 잘 먹는 편이라는데 그래도 이유식 먹이는 과정이 쉽지만은 않았습니다. 흰살 생선에 적채와 애호박을 넣어 만든 이유식... 적채가 들어가니 보라빛이 돕니다. 고소하라고 깨소금도 살짝 뿌려줬더니 도담이가 잘 먹어 주었답니다. 이유식을 만들면서 한번씩 맛을 보면 간이 안되서 밍밍한 것이 재료를 달리해도 약간의 차이만 있을 뿐 그맛이 그맛인데요 그 미묘한 차이에도 어떤 건 잘 먹고 어떤 건 잘 안먹고 그러더군요. 이유식이 먹기 싫을 때 우리 도담이가 하는 행동들... 손가락 빨기 잘 먹다가도 손가락이 입으로 들어가면 그만 먹겠다는 거죠. 도담인 또래 다른 아이들에 비해 엄지 손가락을 자주 빠는 편인데요 공갈젖꼭지는 ..
추석 연휴 때... 매 끼니 때마다 저 먼저 밥 먹으라고 어머니께서 도담일 봐주셨습니다. 그런데 먹을 거 보면 뚫어져라 바라보며 입맛을 다시는 도담이~ 그런 도담일 보면서 어머니께서 얼마나 안타까워 하시던지요. 밥알 몇개씩 입에 넣어주시다가 하루는 소고기 국을 도담이에게 먹이셨습니다. 그 모습을 보는데 저도 모르게 표정이 일그러 졌나봅니다. 옆에 계시던 작은 어머니께서 제 옆구리를 꾹~ 찌르시며 " 괜찮아. 옛날 할머니들은 자기 입으로 씹어서 먹이고 그랬어. " 친정에 갔더니 우리 엄마도 역시 할머니였습니다. 이유식을 시작하긴 했지만 과일도 갈아서 즙만 물에 타 먹이고 그랬는데 그냥 수저로 긁어서 바로 먹이셨습니다. 도담일 이뻐해 주시는 교회 집사님 한 분도 식사를 하다가 도담이 입에 조금씩 넣어주시곤 ..
4개월에서 5개월로 넘어갈 즈음 쌀미음으로 시작한 이유식... 6개월이 넘은 지금은 고기에 채소에... 간을 안해서 좀 싱겁긴 하지만 제법 죽 같은 이유식을 먹습니다. 이유식 안먹으려해서 고생하는 경우도 있다는데 울 도담인 생각보다는 잘 받아 먹습니다. 3개월부터 숟가락 연습 시킨다고 병원에서 선물로 받은 분유를 종지에 조금씩 타서 먹이곤 했는데 그게 도움이 되었을까요? 그런데 그 분유... 정작 도담인 얼마 안먹고 남편이 다 먹어버렸답니다. 처음에 이유식 먹일 땐 젖먹이듯이 안고 먹였는데요 아이가 활동이 많아지고 힘도 더 세지니 여간 힘든게 아닙니다. 그래서 남편이 많이 도와 줬죠~ 범보 구입하고는 혼자서 먹이기가 수월해 지긴 했는데 울 도담이 얌전히 받아먹고만 있지 않았습니다. 처음에 몇번은 잘 받아..
언제부턴가 우리 도담이 엄마, 아빠가 먹는 걸 보면 혀를 낼름 거리거나 마치 껌 씹는 것 같은 모양으로 입맛을 다십니다. 저희 시어머니 그 모습 보시고 하시는 말씀 " 아이고~ 애 보기 미안해서 뭘 먹들 못하겠네. " 하지만 저는 꿋꿋이 먹습니다. 도담이에게 이렇게 말하면서 " 엄마도 맘마 먹어야 우리 도담이 맘마 주지? " 저희 신랑은?? " 너도 먹고 싶지~~?? " 하며 장난을 치다가 정말로 아이 입에 음식을 갖다 뎁니다. 한번은 밥알 하나가 아이 입에 들어간 적이 있었습니다. 제가 놀래서 아이 입으로 손가락을 집어 넣어 빼냈는데요 그래도 아빠의 장난은 멈출 줄 모릅니다. 방울 토마토 먹을 때도 겉만 핥는 거니까 괜찮다며 아이 입에 갖다데고 수박 먹을 때도 이건 거의 물이니까 괜찮다며 아이 입에 갖..